Volume 설정
1. 훑어보기
Concert 모드
최대 머티리얼 밝기


캐릭터 포스트 프로세싱


OIT


Screen Space Outline


2. 상세 설정
이름 | 설명 |
---|---|
Mode | Normal - 기본으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. Concert - 콘서트처럼 메인 디렉셔널 라이트의 조도가 낮은 환경을 위한 옵션입니다. 캐릭터에 영향을 주는 디렉셔널 라이트와 스팟라이트 중 더 강한 라이트를 기준으로 캐릭터 그림자 영역을 판단합니다. |
Shadow Direction Offset | Normal 모드를 사용할 경우, 캐릭터 쉐도우의 방향을 조절합니다. |
Follow Layer Mask | Concert 모드를 사용할 경우, 선택한 layer mask에 해당하는 스팟라이트들을 가장 강한 라이트를 선정하는 데 활용합니다. 이 layer mask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외되므로, 씬에 follow light 등을 구분하여 기획적으로 캐릭터를 비추는 스팟라이트들만 고려할 수 있습니다. |
Transparent Shadow | 활성화 시, 반투명(Transparent) 전용 그림자를 추가로 그립니다. Pota Toon 쉐이더를 사용하는 반투명 물체만 포함하며, 메모리와 성능 면에서 불리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켜는 것을 권장합니다. |
Quality | 프로젝트 사양에 맞게 퀄리티 옵션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 높게 설정할 수록 캐릭터의 셀프 그림자의 품질이 높아지며, 연산 비용이 많이 발생합니다. 가장 높은 퀄리티 옵션은 Cinematic으로, 오프라인 렌더링에 적합합니다. 실시간 렌더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 |
Max Material Brightness | 캐릭터 머티리얼이 영향 받는 최대 밝기의 상한값을 설정합니다. 이 값을 설정하여 캐릭터가 아주 강한 빛 아래 있더라도 원래의 색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 값이 높을 수록 빛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.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값을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. Normal에서 권장하는 기본 값은 [1.0 - 2.0] 이며, Concert에서 권장하는 기본 값은 [1.0 - 1.5] 입니다. |
Char Post Processing | 캐릭터 전용 포스트 프로세싱을 활성화합니다. Color Grading, Screen Rim, Bloom, Screen Outli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|
Env Post Processing | 캐릭터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포스트 프로세싱을 활성화합니다. 밝기와 톤매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|
Global Char Shadow Settings | 모든 캐릭터에 적용되는 캐릭터 셀프 그림자 설정을 조절합니다. 유니티 라이트 세팅에서 사용하는 쉐도우맵에 대한 이해가 있는 경우 사용을 권장합니다. |
OIT | [Windows 전용 - DirectX 11/12] 복잡한 반투명 메쉬를 깨지지 않고 렌더링합니다. OIT는 씬 내 모든 반투명 오브젝트들을 렌더링한 뒤에 캐릭터 반투명 메쉬를 덮어 씌우기 때문에 이펙트 등을 가릴 수 있으므로, 렌더링 순서의 차이를 유의하고 사용해야 합니다. 캐릭터 반투명 메쉬의 Blend mod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(Additive, Src Blend) |
Last updated on